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

by 뽀대나는판다 2023. 4. 4.
반응형

2030 젊은 새대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대한민국 청년이라면 오늘 포스팅 내용을 통해 미리 대비하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수령 시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올해 3월에 금융위원회에서 운영방향 중간발표가 있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매력적인 이유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만큼 저축하여 5년 만기를 채우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이 있어서 일반 적금보다 목돈 모으는데 훨씬 좋기 때문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만 19~34세 청년 (군대에 다녀온 청년은 최대 6년인정)

2. 개인소득 : 7,500만 원 이하

3. 가구소득 : 중위 180% 이하

 

반응형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으로 확정되며 개인소득, 가구소득 기준은 6월 가입자는 21년 소득 기준, 7월~8월에 소득 확정 후 가입자는 22년 소득기준으로 가입 가능여부를 정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다르니 아래 표를 보며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을 확인해 주세요.

예를 들면 소득이 2,400만 원일 경우 월 40만 원씩 저축하면 기여금 매칭비율이 6%가 되어 월 2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3,600만 원이라면 월 50만 원씩 저축했을 때 기여금 매칭비율이 4.6%가 되어 월 23,000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매칭비율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이며 취급기관별 금리 수준은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400만 원 이하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우대금리를 부여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과 방법

청년도약계좌 시청기간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신청 가능하다고 합니다. 매월 2주 동안은 신청을 받고 2~3주 정도 심사를 마친 후 결과를 통보하며 심사 방법은 비대면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매년 유지심사를 한다고 하니 가입 후 2년 후에 소득이 6,0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되니 주의하기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등 저소득층 청년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과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신 분들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를 순차 가입이 허용됩니다.

 

 

 

댓글